본문 바로가기

Where to Be15

아이는 엄마의 말끝에서 자란다 아이는 엄마의 말 끝에서 자란다. 상담을 하는데 학부모님께서 "우리 아이가 되게 소심하거든요."라고 하였다. 그래서 웃으며 말씀드렸다.아, 00 이가 조심성이 많군요. 그러자 학부모님께서 겸연쩍게 웃으시며 "선생님께서 좋게 표현해 주시네요."라고 하셨다. 한 학부모님은 "우리 아이가 산만해서 가만히 있질 못해요."라고 하시길래 호기심이 많은 아이군요.라고 하니 "그렇게도 볼 수 있겠네요..."라고 하신 적도 있다. 엄마들의 단어 선택을 보면 그 엄마가 자녀를 향한 마음(바램)을 알 수 있을 때가 많다. 엄마는 내 아이가 대범했으면 하는데, 쭈삣거리는 모습이 마음에 들지 않았던 것이고, 다른 아이들처럼 가만히 있는 모습도 보고 싶은데, 집중하지 못한다는 생각에 염려가 앞선 것이다. 그리고 그 마음은 고스란.. 2023. 3. 23.
어린이집 적응기간 #1 2023년 신입학기 설명회를 준비하는 바쁜 요즘이다. 대부분의 학부모님들이 원의 보육방침, 교육 프로그램, 식단, 필요경비, 특별활동과 같은 정보를 궁금해한다. 하지만, 아이들의 입장에서 생각해 보면 세상에 이런 청청벽력 날벼락이 없다. 세상 편한 곳인 엄마와 집을 떠나 생활해야 한다니. 그것도 나에게 아무런 상의나 동의도 없이 말이다. 게다가 상담을 진행해 보면 꼭 "저희 아이는 낯가림이 없어서 적응기은 필요하지 않아요!"라는 분들이 계시다. 자녀를 몰라도 너무 모른 분이시다는 생각에 안타까움이 먼저 든다. 모든 만물은 적응기가 필요하다. 축구선수들도 시합을 앞두고 시합이 예정된 나라에 미리 다서 현지에 맞춰 적응 연습을 한다. 운동선수뿐만 아니라 우리들도 먼 나라를 여행할 때 시차, 음식, 문화에 맞.. 2023. 1. 12.
내 아이 자존감 키우기 #4 이 세상을 살아가면서 수많은 시련들을 마주하게 될 우리 아이들이다. 세상이 주는 시련들 앞에 굴복하지 않고 훌훌 털고 일어나 전진할 수 있게 하려면 자녀의 회복탄력성을 키워주면 된다. 이 회복탄력성은 자존감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자녀의 자존감의 키우기 위한 방법으로 앞 선 글에서 성취감과 (자녀의) 의견 존중에 대해 다룬 바 있다. 오늘은 자존감 키우기의 가장 좋은 방법인 "사랑 표현"에 대해 하려 한다. 아이들은 사랑을 먹고 자란다 사랑을 풍부하게 받고 자란 아이들은 구김이 없다. 구김이 없기에 상대방의 말이나 행동을 왜곡해서 받아들이지 않는다. 세상을 바라보는 눈이 바르고 긍정적이다. 사랑이란 눈에 보이지도 만져지지도 않기에 표현하지 않으면 모른다. "내가 일하는 것이 다 우리 가족을 위한 일이지!.. 2022. 12. 5.
내 아이 자존감 키우기 #3 오늘 한 친구가 곰돌이 모자를 쓰고 등원했다. 엄마가 씌워 준 곰돌이 모자가 꽤나 마음에 들었는지 계속 쓰고 있고 싶다고 말하였고, 그러라고 했다. 그렇게 오늘 오전 내내 모자를 쓰고 생활하였다. 낮잠 시간이 되어 "ㅇㅇ아, 낮잠 시간에 모자는 어떻게 할 거야?" 하고 물으니 "쓰고 잘 거예요!" 라고 하였다. "불편하지 않겠어?" 물으니 "괜찮아요." 라고 답했다. 그렇게 ㅇㅇ이는 곰돌이 모자를 쓰고 잠들었고, 곰돌이 모자를 쓰고 잠든 모습이 너무 귀여워 사진을 찍어 엄마에게도 보내주어 엄마와 나는 카톡으로 한참을 웃었다. 어제는 자녀의 자존감을 키우는 방법 하나로 "성취감"을 이야기했다. 오늘은 서론에서 든 예와 같이, 자존감을 키우는 두 번째 방법으로 "(자녀의) 의견 존중"에 대해 말하고자 한다... 2022. 12. 2.
내 아이 자존감 키우기 #2 보육현장에 있다 보면 바지를 스스로 입을 수 있는 만 0세가 있는가 하면 바지를 스스로 입을 수 없는 만 2세도 있다. 그 발달의 차이는 내 아이가 늦어서도 아니고 모자라서는 더더욱 아니다. 엄마가 그만큼의 기회도, 기다림도 주지 않았기 때문이다. '자존감을 키워 주는 방법에 대해 알려준다면서 왜 옷 입는 이야기를 하는 거야?'라고 생각하실 수 있다. 오늘의 《내 아이, 자존감 키우기》의 첫 번째 방법은 "성취감"이다. 엄마가 아기일 때부터 옷을 다 입혀 줘서 아이 스스로 바지도 못 입는데 비슷한 개월 수의 친구가 배변훈련을 시작한다 해서 함께 시작한다면, 아이는 변기통 앞에서 바지를 내리다가 옷에 실수를 하게 된다. 실로 현장에서 종종 이런 일이 발생하곤 한다. 아이가 놀다가 "쉬"라고 말하며 교사에게.. 2022. 12. 1.
내 아이 자존감 키우기 #1 아이들을 관찰하면 흔히 말하는 '인싸'인 아이들이 있다. 그 아이들을 면밀히 관찰하면 딱 하나의 공통점이 있다. 자존감이다. 그 자존감은 놀이에서 나타난다. 자존감이 높은 아이들은 혼자서도 잘 논다. 혼자서 너무 재미나게 노니 호기심 많은 아이들이 그 아이 주변으로 몰리는 것은 어쩌면 당연하다. 먼저 놀잇감을 갖고 있었으니 그 놀이는 그 아이가 주도하게 되고 자연스럽게 리더쉽도 길러진다. 강화되는 것이다. 어른의 세계라고 어디 다를까. 혼자인 시간이 어색해 늘 사람을 찾는 사람이 있는 반면, 혼자만의 시간을 잘 관리하고 활용하는 사람들이 있다. 자존감이다. 그렇다면 우리 아이의 자존감은 어떻게 키울 수 있을까? 답은 분명히 있다. 나는 이 방법으로 우리 반 아이들을 인싸로 만들어 놓았다. 교실에서는 그저.. 2022. 11. 30.